넓고 푸른 제주 바다 위에 하얀 물체가 둥둥 떠다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까이서 보니 바로 '바다거북'인데요. <br /> <br />이미 숨을 거둬 배가 하늘을 향한 채 파도에 힘없이 흔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제 오후 제주 올레길을 걷던 시민이 발견해 해경에 신고했는데, <br /> <br />파도에 밀려 해안가로 떠내려와 인양된 바다거북은 크기 84센티미터. <br /> <br />그리고 머리 부분에는 낚싯줄 등이 칭칭 감겨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병엽 / 제주대학교 고래·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교수 : (거북이가) 표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희들이 발견했는데 낚싯줄 낚시 어구에 목이 걸려져 있다는 것은 먹이 활동하다가 걸린 것으로 추정됩니다. 폐어구 밑으로 보면 이 조그마한 고기들이 많이 서식하거든요. 그러면 그 고기를 먹으려고 접근했다가 폐어구에 감겨서 죽는 경우가 최근에 이제 많이 발생하고 있죠.] <br /> <br />사람들이 조업활동을 하다가 어구가 파손되면 그냥 바다에 버리고 오는 경우가 많은데, 이런 폐어구에 바다거북이 희생된 것 같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폐어구, 폐그물에 걸려 위험에 빠지는 해양 동물은 바다거북만이 아닌데요. <br /> <br />지난해 11월에도 새끼 돌고래 꼬리가 폐그물에 걸려 꼬리가 잘릴 위험에 처했고요. <br /> <br />이달 초에도 제주 구좌읍 앞바다에서 폐그물에 걸린 돌고래가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폐어구가 동물뿐 아니라 사람의 생명도 위협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는데요. <br /> <br />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김병엽 / 제주대학교 고래·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교수 : 결국은 인간에 의해서 발생하는 어구지만 결국은 이게 뭐 이런 해양 동물뿐만 아니라 이 결국은 인간에게도 이제 피해가 온다는 거죠.] <br /> <br />인간과 동물, 모두의 안전을 위해 폐어구 등 쓰레기는 바다에 절대 버리지 말고, 반드시 육지로 가져와서 폐기해야 한다는 것, 모두 명심해야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자막뉴스ㅣ이선, 고현주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12115021218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